아두이노는 작성한 프로그램을 아두이노 안에 넣어 외부 기기(센서, 스위치 등)의 값을 받아오거나 외부 기기(모터, 스피커 등)에 신호를 주어 작동하는 '제어'에 최적화 된 보드인 반면,
라즈베리파이는 우리가 컴퓨터에 윈도우를 설치하듯 전용 운영체제를 보드에 설치하여 제어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이용은 물론 복잡한 계산이나 영상을 활용한 기능도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컴퓨터입니다.
실제로 아두이노는 제어에 필요한 포트를 제외하면 전원과 USB 단자만 존재하지만, 라즈베리파이에서는 HDMI나 LAN 포트 등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필요한 단자들을 찾아볼 수 있답니다(특정 간소화 모델 제외).
하지만 이러한 차이점은 기존까지의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보드에 해당되는 내용이었습니다.
라즈베리파이에서도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'제어'에만 최적화된 보드,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출시한 것이죠.
[출처] 라즈베리파이 피코 #1, 소개 및 아두이노와의 차이점|작성자 송송
'Micro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1 Raspberry Pi Pico 알아가기 - (3) (0) | 2022.06.15 |
---|---|
Chapter 1 Raspberry Pi Pico 알아가기 - (2) (0) | 2022.06.15 |
Chapter 1 Raspberry Pi Pico 알아가기 - (1) (0) | 2022.06.15 |
Raspberry Pi Pico에서 MicroPython 시작하기 (0) | 2022.06.15 |
Raspberry Pi Pico (0) | 2022.06.15 |